본문 바로가기
기술경영 분석

과학기술? or 과학과 기술?

by Starter-Bean 2023. 6. 20.

우리들은 흔히 과학기술이 발전해야 나라가 발전한다고 하며, 과학과 기술의 차이를 생각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과학 VS 기술

과학은 자연 현상에서 체계적인 관찰-실험 등의 과정(과학적 방법)을 통해 얻게 되는 지식을 말합니다. (귀납주의)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과학은 이미 자연에 존재하고 있는 복잡한 현상을 인간이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중력을 연구하거나, 새로운 행성을 탐색하거나, 자연에 이미 존재하였던 규칙 등을 찾아내는 등의 활동을 말합니다.

 

기술은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인간의 요횽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건을 생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응요한 지식"(이공래, 2000). 다시 말하자면, 새로운 제품이나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 과학적인 법칙을 적용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을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운송을 편리하게 해주는 자동차의 개발은 연료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 예입니다. 

[그림 1-1] 과학과 기술 간 지식흐름 차이 (출처: 지일용, 기술혁신과 경영 참조)

 

이러한 과학과 기술을 근대 경제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바라 보았습니다. 

 

과학 = 공적인 것

기술 = 사적인 것, 독점성을 동반하는 것

 

또한, 최근에는 과학과 기술의 분류를 다음 표와 같이 보았습니다.

[표1-1] 과학과 기술의 특성 비교표,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원(2010), 과학-기술-산업 간 지식흐름 연계구조 분석 체계 개발 중

 

과학과 기술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별개로 발전하여 왔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술은 과학을 응용한 결과로서 발전하여 왔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2002년 노벨상을 수상한 카지타 타카아키 교수는 오랫동안 질량이 0으로 알려진 소립자 뉴트리노가 질량을 가짐을 밝혀냈습니다. 이는 지한 1000m에 있는 슈퍼 카미오칸데라는 실험 시설에서 거대한 수조에 물을 채워 뉴트리노 진동이라는 현상을 찾아냈습니다. 이 사례가 기술이 과학을 진보하는데 도움을 준 사례입니다.

 

 

<참고 문헌>

이공래 (2000), 기술혁신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지일용 (2021), 기술혁신과 경영

한국과학기술정보원(2010), 과학-기술-산업 간 지식흐름 연계구조 분석 체계 개발